Wednesday, June 6, 2012

나는 방법론의 파괴자

"연구참여자"라는 말은 그들이 그저 교체가능한 인터뷰이 1, 2가 아니라, '바로 그 사람'의 '참여'가 없으면 연구가 성립되지 않거나 무너져버리는 상황에만 사용해야 하는 거 아닌가? 지금 하나가 실제로 무너지게 생겼거든.ㅋ

연구참여자, 인포먼트. 이 둘다 결국 그들의 말(뒤)에 진리가 있다는 신념을 공유하고 있다. 그렇다면 인포먼트, 연구참여자라는 명명은 결국 이런 인식론적 차원으로 사고되고 분리될 것이 아니다. 오히려 문제는 존재론(?)이 아닌가 싶다. 그들의 '특유성' 자체가 얼마나 연구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들이 얼마나 연구 자체를 '좌우'하는가라는 지점 말이다. 그렇다면 '연구참여자'라는 명명 대신 다른 말을 만들어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기형 교수는 덴징한테 그렇게 영감을 받았었다는데 나는 대체 어떻게 하면 좋을지 모르겠다. 하하.

이론을 해라 비판을 하지 말고.

상대하는 논의 혹은 이론이 결국 자가당착에 불과하다는 수준으로까지 밀어붙이지 않으면, 자기가 비판하려는 이론의 너그러운 통치 따위나 구걸하는 모양새를 완전히 벗어나기 힘들다. 흑인 문제를 다루지 못했다. 여성의 목소리가 빠져 있다. 길거리에 미친 여자 하나 나자빠져서 운다. 제발 경찰이 출동해주기를 바라면서.

Monday, June 4, 2012

전주국제영화제와 나

마치 <요세미티와 나> 같은 제목이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유운성이 해임됐다. 김은정 전북일보 선임 기자는 몇 년 전에 비해 하나도 변하지 않고 오히려 더 '독해진' 모양이다.

트위터 타임라인에서 우연히 정말 유운성 프로 트윗을 본 것 뿐이었다. 순간 나는 정말 눈물이 핑 돌고 가슴이 벌렁거렸다. 바로 리트윗을 했다. 몇 명 보지도 않겠지만 나름 시니컬한 논평 트윗도 올렸다. 잠깐 동안 어디 신문에 투고라도 해야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한겨레 <왜냐면>은 어떨까, 라고 생각이 미치게 되었을 때 나는 나 자신의 이 감정이 역겨워지기 시작했다. 그래. 고작 투고할 신문이란 게 결국 '한겨레'였던 거다. 전북일보도, 전주일보도, 전북도민일보도 아닌.

전주국제영화제는 나한테 정말 중요한 계기다. 내 삶을 바꾼 몇 개의 사건을 뽑는다면 전주영화제는 언제나 상위권의 자리를 차지해왔다. 나는 심지어 대학원 학업계획서에도 전주영화제 이야기를 적었다. 전주영화제는 10여년 동안 내가 단 두 번 빼고는 매년 찾았던 축제이며, 언제나 기다리고 기대하게 되는 이벤트이다. 어쩌면 내가 한번도 부산국제영화제에 가볼 생각을 하지 않은 것은, 전주영화제야말로 내가 여행 혹은 순례를 떠날 수 있는 유일한 영화제라는 일종의 충성심을 보존하기 위해서였는지도 모른다.

그런데 실제로 전주국제영화제가 정말로 '전주'국제영화제였던 적이 없는 것같다. 아아, 김은정 기자는 나의 이 비밀을 간파했던 것이다. 나는 아무 말도 할 수가 없는 사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