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December 20, 2011

치매를 재현하기-천일의사랑

수애 출연 김수현 극본 <천일의 사랑>
마지막회를 보니, 치매 걸린 수애가 기저귀를 차려고 애쓰는 게 나왔더란다. 결국 겉옷 위에다가 기저귀를 붙이려고 안간힘쓰는 장면였다고 하지만.

그리고보니 우리가 치매에 대해 상상하는 게 결국 "벽에 똥칠"이라는 모습이 아녔나 싶다. 벽에 똥칠할 때까지 살겠다, 라는 우리의 농담 역시 우리가 죽음에 대해 상상하는 가장 극단적인 표상을 반영하는 것이었던 셈이다. 똥칠이란 우리가 죽음을 상상하는 가장 공포스러운 것. 그러나 우리가 상상하는 것만큼의 스펙터클.

물론 이 드라마는 수애가 치매를 진단받고, 받아들여 맞서 싸우고, 체념하고, 무너지는 일련의 과정을 다루긴 한다. 그 속에서 우리는 '치매'라는 것이 일련의 '단계'들을 거치는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그저 '벽에 똥칠'이라는 극단적 '결과'를 질병 전체로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고보니, 이제까지 치매 관련된 건 전부, 이런 완전한 상실의 상태, 즉 단계의 가장 마지막 끝, 결과의 재현에만 집중, 몰입해왔던 게 아닐까 모르겠다. <어웨이 프롬 허>, 일본영화 <소중한 사람>까지. <어웨이프롬허>의 경우, 치매 걸린 알 수 없는 부인에게 충격 받는 남편을 다룬다. 즉, 보살피는 사람. <소중한 사람> 역시 보살피는 사람을 다룬다. '아이'가 되어버린 시어머니를 끝까지 극진히 살피고, 치매라는 질병, 노인을 결국 '아이'로 다루는 며느리. (전철역 시민의 사연 공모 치매걸린 시어머니 부양 이야기처럼) 그러다보니까 결국 치매 환자의 '목소리'와 '생각'은 사라져버릴 수밖에. 그런 '말안되는 말'은 절대로 재현되지 않는다. <천일의 사랑>에서도 내레이션 주체로서 갑자기 김래원이 끼어든다. 수애의 불안하고, 공포에 떠는 독백 내레이션은 이미 사라져버린다. 치매 증세가 악화된 수애는 독백하지 못한다. "아저씨 누구야, 무서워, 저리가!"라는 정신나간 소리만이 들린다. 들리지 않는 생각, 독백, 방백은 사라지고 만다. 아이에게는 생각이 없다. 따라서 가장 가엾게 되는, 생각하는 존재는 김래원으로 전환되는 것.

치매를 다룬 이 드라마 역시 시청자들의 그런 표상을 애초부터 염두에 두었던 것였다. 따라서 벽에 똥칠하는 모습은 어떻게든 드라마 속에 담겨야 하는, 치매라는 질병에 대한 리얼리티의 핵심이었던 것이다. 김수현 작가 역시 마찬가지로 생각했을 거다. 어떻게든 '드레수애'라 불릴만큼 우아한 여배우 '수애'와 '똥'을 연결시키겠다는 '악취미'.

이때 <블랙미러> 에피소드 1. 수상 부인이 말한다. "사람들 머리 속에서 이미 당신은 돼지와 성교하고 있다."라고. 결국 '벽에 똥칠하는 수애'는 이미 많은 사람들 머리 속에서 이미 피어오르고 있는 표상이다. 게다가 반드시 보아야만 하는 똥!

치매 재현하기는 결국
-똥에 대한 집착/매혹
-치매 환자를 '아이'로 만들기. '어른 아닌 것'으로 만들기.
-치매 환자 목소리 안 들리게 하기.

Sunday, December 18, 2011

교수들한테 그만 치대야겠어.

반복되는 고백, 학부 신입생처럼 감병받기, 팬심의 발현 이딴 거.
며칠 지나 금세 부끄러워질 그런 것들.